✈️ 이 물건, 기내에 가져가도 될까?
매번 짐 챙기기 전에 헷갈리는 기내 수하물 규정.
“이건 들고 타도 되나?” “액체는 얼마나 가능하지?”
허투루 챙겼다간 공항에서 짐을 버리거나 추가 요금을 내야 할 수도 있어요.
여행 짐 꾸리기 전, 꼭 알아둬야 할 수하물 관련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! 🧳
✅ 헷갈리는 기내 수하물, 깔끔하게 정리! 👀
🔋 보조 배터리, 무조건 기내로!
맞아요. 하지만 **반입 가능한 용량 기준(Wh)**이 있어요.
- 100Wh 이하: 인당 5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
- 100~160Wh: 항공사 사전 승인 후 2개까지 가능
- 160Wh 초과: 반입 불가
💡 대부분 사용하는 10,000~20,000mAh 보조 배터리는 100Wh 이하라 안심해도 돼요.
📢 2025년 3월 1일부터 달라지는 점!
1️⃣ 기내 보관 방법
보조 배터리와 전자담배는 기내 선반 X → 직접 소지하거나 앞좌석 포켓에 보관해야 해요.
2️⃣ 충전 금지
기내에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다른 기기를 충전하는 행위 금지!
3️⃣ 포장 및 단자 보호
보조 배터리는 지퍼백, 파우치 등에 넣고, 단자는 절연 테이프로 감싸기
4️⃣ 보안 검색 강화
규정 위반 시, 항공사 확인 및 조치가 있을 수 있어요.
💻 일반 전자기기
노트북, 태블릿은 기내 OK!
단, 160Wh 초과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기기는 기내 & 위탁 모두 불가예요.
(※ 보행 보조 기기 등 예외 있음)
🧴 액체류는 얼마나 가능할까?
❓ 100mL 이하 용기면 전부 OK?
→ 용기 기준이에요! 내용물이 100mL 이하라도 용기 용량이 초과라면 반입 불가
✅ 작은 공병에 옮겨 담고,
✅ **1L 이하 투명 지퍼백(한 개만 가능)**에 담아야 해요.
(※ 일반 규격: 20.5×20.5cm 또는 15×25cm)
💧 물티슈는 액체로 분류될까?
예전엔 맞았지만, 지금은 아님!
→ 2021년 6월부터 물티슈는 액체류 아님.
최대 200매짜리 1팩까지 반입 가능
⭐ 100mL 초과도 가능한 예외
1️⃣ 면세점에서 구매한 액체류
: 전용 봉투에 밀봉된 상태라면 용량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
2️⃣ 유아 동반 시
: 우유, 이유식, 물 등 아이의 필요량만큼은 100mL 초과도 OK
(※ 보안 검색 시 미개봉 or 밀봉 상태 권장)
🎒 기내 수하물 몇 개까지 가져갈 수 있을까?
- 기본적으로 기내용 캐리어 1개 + 작은 가방 1개 (총 2개)
- 두 짐의 무게 합계 10kg 이하
- 기내용 캐리어 크기: 가로+세로+높이 = 115cm 이하
🚨 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이 다르니 탑승 전 꼭 확인!
좌석 여유가 없으면 더 엄격하게 적용되기도 해요.
📍 10kg 초과하면?
→ 일부 짐을 위탁 수하물로 옮기거나,
→ 항공사에 따라 기내 수하물 추가 옵션 구매 필요할 수 있어요.
🍮 푸딩은 액체일까, 고체일까?
→ 액체입니다!
- 대부분 100mL 초과라 기내 반입 불가
- 일부 항공사는 100mL 이하라도 푸딩/요거트 금지하는 경우 있음
📍 푸딩 꼭 가져가고 싶다면?
→ 위탁 수하물로 포장해서!
- 보냉백 + 얼음팩 + 옷 등으로 감싸 충격 방지
🌏 모든 나라의 수하물 규정은 같을까?
아니에요. 다릅니다!
- 국가별 / 항공사별로 규정이 다름
- 출국 땐 괜찮았는데 귀국 때 제한될 수도 있어요
📌 예시
- 라이터: 한국 → 기내 OK / 필리핀 → 기내 & 위탁 모두 금지
- 무선 고데기: 일본 출발 비행기에서는 배터리 분리 안 되는 제품은 기내·위탁 모두 불가
✏️ 짐 꾸릴 때 꼭!
→ 이용하는 공항 &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규정 확인하세요!
'해외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 세계 여섯 곳, 여섯 가지 색깔의 디즈니 파크 (3) | 2025.04.12 |
---|---|
맑은 하늘 아래 아름다운 별빛을 감상할 수 있는 여행지 (1) | 2025.04.08 |
올 인클루시브 리조트 추천 (0) | 2023.06.28 |
놓치면 아쉬운! 리뉴얼 명소들 (0) | 2023.01.24 |
해외 이국적인 감성 숙소 핫플 소개 (0) | 2022.07.13 |